한국감정원은 7월 신고 기준 실거래정보로 전월세전환율을 산정한 결과, 주택종합은 7.4%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. 유형별로는 아파트 5.6%, 연립다세대주택 8.0%, 단독주택 8.9% 순으로 나타났고, 지역별로는 지방(8.5%)이 수도권(6.9%)보다 높게 나타났다.
‘전월세전환율’이란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비율로 이 비율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전세에 비해 월세 부담이 높다는 의미이고 낮으면 반대다.
이 비율은 최초 작성한 2011년 이래 꾸준히 하락세지만 하락폭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달은 모든 유형에서 전월 대비 하락했고, 지역별로는 수도권(6.9%)과 지방(8.5%) 모두 지난달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.
정기예금금리는 전월대비 0.1%p(6월 1.7%→ 월 1.6%) 하락해 역대 최저 수준을 보였으며, 전월세전환율도 금리와 비슷한 추이를 보이며 하락세로 나타났다.
세부지역별로는 세종이 가장 낮은 6.2%, 경북이 가장 높은 10.6%를 기록한 가운데 광주(8.0%→7.8%), 대전(8.1%→7.9%) 등은 전월에 비해 하락했고, 인천(8.0%→8.1%)은 유일하게 전월대비 상승했다.
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(5.6%), 연립다세대(8.0%), 단독주택(8.9%) 순으로 낮은 전환율을 기록하며 모든 유형에서 전월 대비 하락한 가운데, 아파트와 단독주택의 상대적 격차는 3.3%p로 나타났다.
자료원:매일경제 2015. 9. 7
'부동산 재태크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광명역세권 복합단지 개발사업 시동 (0) | 2015.09.09 |
---|---|
외국인 대상 임대주택시장 '쑥쑥' - 외국인 1년 새 11% 증가 (0) | 2015.09.09 |
같은 듯 다른 '다가구 다세대' 주택 (0) | 2015.09.06 |
정부 제안대로 리모델링했더니..연 500만원씩 수익 감소 - '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사업' 수익성 시뮬레이션 해보니… (0) | 2015.09.04 |
`지분제냐 도급제냐` 조합-시공사 밀당 - 부동산시장 호조에 재건축 사업방식 놓고 갈등 (0) | 2015.09.04 |